배포
배포에 대한 개념을 기술할 페이지
Last updated
배포에 대한 개념을 기술할 페이지
Last updated
배포 수업에 들어가기에 앞서서 배포라는 개념에 대해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여태까지 몇번은 들어봤을 배포는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요?
배포란 여러분들이 열심히 작성한 코드를 윈도우와 같은 운영환경상에 옮겨서 실제로 동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합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렸지만 배포가 단순히 코드를 운연환경상의 서버에 옮기는게 끝이 아닙니다. 배포에는 나름대로 정해진 순서와 단계가 존재하죠. 이번시간에는 배포가 어떤 순서에 맞춰서 이루어지는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그래밍할 대상을 선정하고 코딩을 하는 단계입니다.
작성한 코드를 운영환경상에 배포하기전 압축하는 단계입니다. 실습에서는 Maven을 활용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를 war형태로 패키징했습니다.
빌드 완료된 코드를 운영환경에 배포하기 전 테스트 하는 단계입니다.
테스트 완료된 코드를 운영환경상에 릴리즈 하는 단계입니다. 배포를 위하여 코드를 옮기는 행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릴리즈된 코드를 실제 운영환경에서 실행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입니다.
배포된 소프트웨어상에 문제가 없는지 모니터링 하고 , 문제점 발견시 유지보수를 하는 단계입니다.
위 단계별로 작업을 완료하면 배포는 끝입니다. 굉장히 간단하죠. 다만 이번시간의 목표는 단순한 배포를 수행함이 아닙니다. 어떻게 배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가? 배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도구들이 무엇이고, 자동화시킬 수 있는 도구가 있는가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
이러한 도구들과 배포방식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잠시 IT시스템의 변화와 이에 맞춰서 변화한 프로그래밍 개발 방법론들에 대해서 알아보고 오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