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 프로젝트 진행
프로젝트 셋팅 완료 후 어떤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지에 대해 기술한 페이지이다.
Last updated
프로젝트 셋팅 완료 후 어떤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지에 대해 기술한 페이지이다.
Last updated
팀원과 팀장의 프로젝트 셋팅이 끝났으면 각자의 개발전략대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된다. 단 정해진게 없으면 아래의 순서대로 작업을 진행해 보도록 하자.
현재 문서에서 다루는 개발방법론은 이슈 기반 개발(Issue-based-development)라고 불린다.
준비 : 각 팀원이 공통으로 사용할 Issue 템플릿을 작성한다. 템플릿 생성과 사용방법은 아래블로그를 참조
모든 팀원은 각자 할당 받은 요구사항에 대한 작업내용을 깃허브의 Issue에 작성한다.
모든 팀원은 본인의 브랜치에서 Issue에 기록해둔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개발을 진행하다가, Issue내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PR을 보내고 Review후 main
으로 merge
한다.
merge후에는 원격 레파지토리의 작업용 branch를 삭제하고 , 로컬 레파지토리의 작업용 branch도 삭제한다.
Issue를 처리완료(Closed) 상태로 변경한 후 이후 진행할 작업에 대한 Issue를 새롭게 생성하고, Issue에 맞춰서 작업용 branch를 다시 생성한다. (1 Issue == 1 branch 원칙으로 github에서 권장하는 방식이다.) 이때 같은 이름으로 브랜치 재생성시 충돌의 위험은 없으니 사용하던 브랜치명 그대로 다시 재사용하면 된다.
이후 2~5번 반복